‘인삼 뿌리썩음병’ 진단, 컨설팅은 토양에 장기간 생존하는 원인균 밀도를 사전에 진단해 인삼밭 선정과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용적 기술이다.
‘인삼 뿌리썩음병’은 인삼 연작장해의 가장 큰 원인이다.
6년근 인삼을 주로 생산하는 경기도 재배 농가는 이 병으로 인해 연작 시 생산량 30~50% 감소, 상품성 저하, 경작 예정지 관리비용 비용) 증가 등의 문제를 겪어 왔다.
연구소는 지난 2018년 인삼 뿌리썩음병의 2가지 병원균인 실린드로카폰과 푸사리움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키트를 개발하고 전국 최초로 진단실을 운영해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.
인삼 경작지 또는 예정지에 대한 뿌리썩음병 사전 진단을 희망하는 농가는 인근 농업기술센터 접수 후 진단 신청서와 토양 시료을 제출하면 2주 후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
농기원 소득자원연구소는 토양 시료를 바탕으로 뿌리썩음병 원인균 2종에 대한 밀도 분석을 실시해 인삼 재배지로서의 적합 가능성 여부와 맞춤형 토양 관리 현장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.
이와 함께 해당 시·군과 뿌리썩음병 진단 빅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진단·처방의 디지털화 방안도 함께 연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.
이러한 뿌리썩음병 데이터화는 인삼 연작장해 경감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.
김진영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장은 “진단 서비스가 인삼재배 농가들의 재배 적지 선정과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”며 “경기 인삼의 경쟁력 향상과 농가 소득 증대에 적극 노력하겠다”고 말했다.
[저작권자ⓒ 뉴스써치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